정부가 사적모임 허용 인원을 4명으로 줄이고, 식당 등의 이용시간을 밤 9시까지로 제한하는 사회적 거리두기 강화 방침을 밝혔는데요. <br /> <br />곧 열리는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 회의에서는 거리두기 강화에 따른 소상공인 지원 방안이 논의될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정부는 사용 가능한 재정을 총동원할 것으로 예상됩니다. <br /> <br />홍남기 부총리 발언 들어보시죠. <br /> <br />[홍남기 /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] <br />우리 경제는 수출, 고용 등이 견조한 흐름세를 보이고 내수도 개선되고 있지만 최근 엄중한 방역 상황과 이에 따른 경제 파급 영향이 더 우려되는 상황입니다. <br /> <br />어제 발표된 11월 취업자 수가 전년 동월 대비55만 3000명이 늘어 8개월 연속 50만 명 이상 증가하면서 11월 기준 고용률이 89년 이래 가장 높고 또한 12월달의 수출도 20% 이상 증가세를 보이며 지난 12월 13일에는 종전 연간 역대 최고치를 갱신하는 등 무역 트리플크라운도 달성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나 최근 오미크론 변이 확산 등으로 확진자 수가 크게 늘면서 방금 전 방역중대본에서 밝힌 단계적 일상회복의 멈춤에 따른 내수 회복 꺾임새에 대한 걱정도 크지만 이에 앞서 엄중한 방역 제어의 절실함이 더 절박하게 다가오는 상황입니다. <br /> <br />정부는 연말연시 특별방역대책에 대한 최우선 실행에 이어 소상공인 등 피해 지원에 집중하고 나아가 방역 범주 내의 경기회복력 극대화를 위하여 모든 정책 역량을 최대한 기울여 나갈 것입니다. <br /> <br />특히 소상공인 지원과 관련하여 기정 예산, 각종 기금, 예비비를 총동원하여 방역 지원금의 지급, 손실보상의 확대, 초저금리 융자 지원 등 다층적으로 최대한 지원해 나가도록 하겠습니다. <br /> <br />2022년은 코로나 위기를 벗어난 일상 복귀로의 원년이 되고 디지털 그린화 등 포스트코로나 아젠다가 본격화되며 아울러 현 정부와 다음 정부 간의 걸친 경제 운용이라고 하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시기가 아닐 수 없습니다. <br /> <br />이런 관점에서 정부는 내년도에 첫째, 우리 경제의 완전한 정상화와 둘째, 선도경제로의 확실한 도약을 목표로 하는 2022년도 경제정책 방향안을 준비 중에 있습니다. <br /> <br />내년도 경제정책방향 안은 첫째, 정상 궤도로의 도약. 둘째, 민생 경제의 회복. 셋째, 리스크 관리의 강화. 넷째, 초세대 성장 동력의 보강. 그리고 마지막으로 다섯 째, 미래 과제에 대한 선제 대응이라고 하는 점 등 다섯 가지 카... (중략)<br /><br />YTN 권남기 (kwonnk09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11216100243608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